성공회(聖公會)
세계 성공회
그리스도교의 역사는 생성과 발전, 창조적인 분열이 겹쳐있습니다. 그리스도교의 가장 큰 분열은 1054년에 일어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분열이었습니다. 서방교회도 중세를 거치면서 16세기 종교개혁으로 다시 큰 분열을 겪습니다. 천주교에서 개신교가 갈라져 나온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하나였던 서방교회가 천주교, 루터교, 장로교, 성공회 등으로 분열된 것입니다. 성공회는 이 분열의 이유와 역사를 잘 알고,그 분열의 창조적인 의미와 더불어 그 아픔과 한계를 늘 인정하고 되새기는 교회입니다.
종교개혁 이후 성공회는 17세기에서 19세기에 다양한 선교 활동으로 세계에 확대되었습니다. 성공회(聖公會)라는 교단 명칭은 전통적인 신경인 니케아 신경과 사도신경에 나오는 ‘거룩하고 공번된 교회’ Holy Catholic church 에서 따와서 한자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쓰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에피스코팔 처치’ Episcopal Church 혹은 ‘앵글리칸 처치’ Anglican Church 라고도 불립니다.
성공회는 길고 복잡한 역사를 통과하며 수많은 사람의 호흡과 생활로 이어져 왔기 때문에, 다양한 신앙 전통과 신앙의 개성을 무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성공회는 나라와 문화마다 다양한 색깔을 지니며, 한 교회 안에서도 신앙과 신학의 흐름이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교단과 연관하여 성공회를 간단히 표현하라면, ‘개혁된 가톨릭’, ‘교황 없는 천주교’, ‘교리에 너그러운 정교회’, ‘가톨릭 전통을 유지하는 개신교’라고 해도 좋습니다.
전 세계 164개국에 퍼져 있는 성공회는 세계적으로 단일한 교단입니다. 이 세계 성공회를 ‘앵글리칸 커뮤니언’ the Anglican Communion 이라고 부릅니다. ‘친교’ communion 라는 말로 교단 이름을 정한 교회는 성공회 밖에 없습니다. 단일 교단으로서 세계 성공회는 세계에서 천주교와 러시아 정교회 다음으로 교세가 큽니다.




한국 성공회
한국의 교회인 대한성공회는 1889년 11월 존 코프(Charles John Corfe, 한국명 고요한) 주교가 영국에서 조선교구의 초대교구장으로 성품되어 파송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890년 부산을 거쳐 인천에 도착한 코프 주교와 동역한 선교사들은 조선인들에게 선진 의료와 교육을 보급하며 선교의 사명을 시작했습니다. 복음과 선교는 자신의 믿음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이 전해지는 땅의 사람들을 위한 하느님의 일이 되어야 하고, 때문에 토착화된 한국인들의 교회로 세워져야 한다는 성공회 신학과 정신에 따른 일이었습니다
이후 대한성공회는 일제 식민시대와 한국전쟁 등 어려운 상황 가운데서도 복음 전파에 온 힘을 기울였습니다. 아울러 한국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며 그리스도교 신앙에 접목하는 일에 힘썼습니다.
서울, 대전, 부산 3개 교구로 이루어진 대한성공회는 세계성공회의 독립 관구로서 전 세계의 성공회 교회들과 더불어 한국 땅에 정의와 평화와 사랑의 복음을 펼치는 일에 힘씁니다. 대한성공회는 초대교회의 신앙 전통을 지키며, 민주적인 의회제도로 교회공동체의 변화와 개혁을 추구하고 이 땅을 구원하는 하느님의 교회로 활동합니다.
현재 대한성공회는 3개 교구, 131여 개의 교회와 수도회, 나눔의집 교회 등 250여 개의 사회선교시설, 성공회대학교 같은 다양한 기관과 활동으로 이 땅에서 하느님의 진리를 추구하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를 위한 교회로써 그 사명을 감당합니다.


